고구려는 왜 국시를 다물로 정했을까?

고구려 모본태왕은 어째서 중국 산서성의 태원과

하북성 상곡, 어양, 북평을 쳐들어 갔을까...

조선의 강역이었던 고토회복 작전은 아니었는가...

 

‘낙랑군 재하북성설’의 10가지 핵심 근거(첫 번째)

 

1. 고조선의 습수는 하북성 북경지역을 흐르는 영정하

2. 고조선의 열수는 하북성 남부지역을 흐르는 호타하

3. 고조선의 산수는 하북성 북경지역 흐르는 조백신하

4. 고조선의 패수는 하북성 보정시 지역을 흐르는 당하

5. 고조선의 갈석산은 하북성 보정시에 위치한 백석산

6. 고조선의 왕검성은 하북성 보정시 만성滿城에 위치

7. 진나라 만리장성의 동단은 하북성 보정시 수성遂城

8. 신라인들은 낙랑 사람으로 하북성 보정시에서 망명

9. 고조선의 준왕은 하북성 보정시의 왕검성에서 망명

10. 고조선은 중국의 동해 안쪽과 북해의 모퉁이에 위치

 

▲ <그림 1> 낙랑군 및 고조선의 갈석산과 습수, 열수, 산수, 패수의 위치

1. 습수관련 사료

사료 번호 습수 관련사료

A-1 『사기집해』 : 장안이 말하기를 “조선에는 습수․열수․산수가 있는데 세 물이 합쳐서 열수가 되었다. 낙랑과 조선이라는 이름은 여기서 따온 이름인듯하다.”고 하였다. 集解張晏曰 : 朝鮮有濕水, 洌水, 汕水, 三水合爲洌水, 疑樂浪, 朝鮮取名於此也. 『史記』卷一百一十五, 朝鮮列傳第五十五

A-2 『수경』에 “습수는 안문군 음관현에서 나와서 동북쪽으로 흘러 대군 상건현을 지나는데, 상건수라고 부른다. 동쪽으로 광양군 계현 북쪽을 지난다.”고 하였다. 지금은 계성 남쪽을 지나는데, 성읍이 옮겨진 것이다. 건의 음은 간이다. 水經, 濕水出雁門隂舘縣, 東北過代郡桑乾縣, 謂之桑乾水. 東過廣陽薊縣北. 今在薊城南, 城邑有變遷也. 乾音干.  『資治通鑑』卷一百八十一, 隋紀五

A-3 습수는 안문군 음관현에서 나와 동북쪽으로 흘러 대군 상건현의 남쪽을 지난다. 습수는 습두산에서 나오는데, 치수라고도 한다. 샘이 산기슭에서 발원하여 구불구불 계곡을 따라 동북쪽으로 흘러서 산을 나온 후, 음관현 옛 성의 서쪽을 지난다...(중략)...습수는 또 동북쪽으로 흘러 왼쪽에서 상건수를 만난다...(하략).

濕水岀鴈門陰館縣, 東北過代郡桑乾縣南. 濕水岀于濕頭山, 一曰治水. 泉發于山側, 沿波歴澗, 東北流岀山, 逕陰館縣故城西...(中略)...濕水又東北流, 左㑹桑乾水...). 『欽定四庫全書』水經注集釋訂訛, 卷十三

A-4 황수하는 삭주 동남쪽에서 나와 동북쪽으로 흘러 마읍향을 지난다. 또 동북쪽으로 흘러 대동부 산음현계에 들어가는데, 즉 옛날의 치수이며, 일명 습수이며, 일명 루수이다. 『한서지리지』는 “안문군 음관현 루두산에서 치수가 나와서 동쪽으로 천주에 이르러 바다로 들어간다. 6개 군을 지나며 1,100리를 간다.”고 하였다.

『수경주』에 “습수는 루두산에서 나온다. 샘이 산기슭에서 발원하여 구불구불 계곡을 따라 동북쪽으로 흘러서 산을 나온 후 음관현 옛 성의 서쪽을 지난다. 또 동북쪽으로 흘러 왼쪽에서 상건수를 만난다.”고 하였다. 『통감주』는 “치수가 루두산에서 나오는데 당시에는 역시 루수라는 이름이 있었다. 역도원이 말하는 습수는 바로 루수이다.”라고 하였다. 『금사지리지』는 “마읍현에 루수가 있다.”고 하였다. 생각건대 치수는 습수이고, 삭관수는 상건수이다. 두 물이 각각 나와서 합하여 흐르며, 치수가 곧 상건수라고 하는 것은 잘못이다.

黄水河源出朔州東南, 東北流逕馬邑鄉. 又東北流入大同府山陰縣界, 即古治水一名濕水一名灅水. 漢書地理志, 雁門郡陰館縣累頭山, 治水所出, 東至泉州入海. 過郡六, 行千一百里. 水經注, 濕水出於累頭山, 泉發於山側. 㳂坡厯澗, 東北流出山, 逕陰館縣故城西. 又東北流左會桑乾水. 通鑑注, 治水出累頭山, 當時亦有累水之名, 酈道元所謂, 濕水即灅水也. 金史地理志, 馬邑縣有灅水. 按治水乃濕水溹涫水乃桑乾水, 二水各出而合流, 或以治水即桑乾誤.   『大清一統志』朔平府

A-5 상건하는 옛날의 치수이며, 또 습수이며, 또 루수인데 지금은 영정하로 부른다. 산서성 삭주 마읍현 서북쪽의 홍도산에서 나오며, 풍속에서는 홍도천이라 부르는데, 즉 옛날의 루두산이다. 桑乾河, 古曰治水, 亦曰濕水, 亦曰灅水, 今名永定河, 源出山西朔州馬邑縣西北洪濤山, 俗曰洪濤泉, 即古累頭山也.  『欽定四庫全書』水道提綱, 卷三

2. 고조선의 습수는 하북성 북경지역을 흐르는 영정하이다.

강물은 생명과 문명의 젖줄이다. 모든 문명은 큰 강을 끼고 태동하였다. 인류 4대 문명도 황하강, 인더스강, 나일강, 티그리스․유프라테스강을 배경으로 태동하고 성장하였다. 오늘날에는 요령성의 요하를 배경으로 하였던 인류 시원문명이 속속 그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 그러면 고조선은 어떤 강을 끼고 어떠한 문명을 열어갔을까? 고조선을 흘렀던 강물을 탐색하는 일이야말로 고조선을 이해하는 지름길이 될 것이다.

고조선과 관련하여 가장 중요한 1차 사료는 『사기』「조선열전」인데, 위의 사료 A-1에서 보듯이 『사기집해』는 3세기 위나라 사람인 장안의 말을 인용하여 ‘조선에는 습수․열수․산수가 있다’고 하였다. 그리고 조선이라는 나라 이름도 이들 강물 이름에서 따왔다고 하였다. 조선이라는 나라 이름의 유래와 위치를 알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사료이다.

먼저 고조선을 흘렀던 습수의 위치를 살펴보면, 『사고전서』등에는 습수에 관한 기록이 매우 풍부하게 수록되어 있다. 그 중에서 중요한 몇 가지만 위의 사료에서 소개하였다.

『자치통감』은 『수경』을 인용하여 습수가 상건수라고 하였다(사료 A-2). 『수경주집석정와』는 청나라 건륭황제 때에『사고전서』를 편찬하면서 그때까지 전해오던 여러 기록들을 종합하여 『수경주』를 수정‧편찬한 것이다. 여기에는 습수의 물길이 아주 상세하게 기록되어 있는데, 오늘날 하북성 북경지역을 흐르는의 영정하永定河라는 것을 쉽게 알 수 있다(사료 A-3).

『대청일통지』는 중국 청나라의 판도를 상세하게 기록한 지리책으로 18세기에 편찬되었다. 여기에는『한서지리지』‧『수경주』‧『통감주』‧『금사지리지』등의 기록을 인용하여 습수가 황수하‧치수‧루수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렸음을 기록하고 있다(사료 A-4). 마지막으로 『수도제강』은 18세기 중반 제소남齊召南이 천하의 물길에 대하여 기록한 책인데, 여기에는 습수가 치수‧루수‧상건하로도 불렸으며, 오늘날 하북성 북경유역을 흐르는 영정하永定河라는 것을 분명하게 고증하고 있다(사료 A-5).

『사고전서』에는 이들 기록 외에도 습수가 오늘날 하북성 북경유역을 흐르는 영정하라는 것을 알 수 있는 기록들이 풍부하게 수록되어 있다. 특히 위의 기록 중에서 『수경』은 삼국시대의 저작으로 알려져 있는데, 『사기집해』에서 ‘조선에는 습수․열수․산수가 있다’고 말한 장안도 삼국시대 사람이므로 『수경』이 말하는 습수와 장안이 말하는 고조선의 습수는 같은 물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고조선을 흘렀던 습수는 현 중국 하북성 북경지역을 흐르는 영정하永定河였다.

3. ‘낙랑군 재난하설’과 ‘낙랑군 재평양설’이 보는 습수의 위치

그러면 ‘낙랑군 재난하설’과 ‘낙랑군 재평양설’에서는 고조선의 습수를 어떤 강으로 보고 있는지 살펴보자.

‘낙랑군 재난하설’을 주장하는 윤내현은 『한국고대사신론』‧『고조선 연구』등에서 고조선의 습수‧열수‧산수는 하북성 난하의 지류라고 설명하고 있다. 『수경주』에 의하면 난하에 습여수濕餘水‧무열수武列水‧용선수龍鮮水라는 지류가 흐르는데, 습여수가 습수이며, 무열수가 열수이고, 용선수가 선수라는 것이다.

그러나 『수경주』에 의하면 습여수濕餘水는 난하와는 별도의 강물로 현 하북성 장가구시 일대에서 발원하여 천진에서 바다로 들어가는 강물로 기록하고 있다. 더구나 『수경주』는 루수㶟水(=濕水)와 습여수濕餘水도 별도의 강으로 기록하고 있다. 그러므로 습여수를 난하의 지류로 본 것이나, 습여수를 습수로 본 것은 윤내현이 『수경주』를 잘못 고증한 것이다.

‘낙랑군 재평양설’을 주장하는 현 강단사학계에서는 고조선을 흘렀던 습수에 대하여 입을 굳게 다물고 있다. 한반도 평양일대에서 습수라는 강물의 기록을 찾을 수 없으니 아예 함구하고 있는 것이다. 현 강단사학계는 ‘낙랑군 재평양설’을 계속 주장하려면 고조선의 습수가 어떤 강물을 가리키는지 밝혀야 할 것이다.<계속>

글쓴이 : 김 봉 렬 『고조선으로 가는 길』 저자

저작권자 © 코리아 히스토리 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