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적인 프랑스의 '칸(Khan)' 영화제의 '칸'도 훈족의 유럽정복과정에서 정착한듯...

 

강화도 마리산 참성단(하늘굿단)과 마야의 피라밋은

같은 수리체계와 상징을 가지고 있다...

각 민족 문화를 대표하는 말을 소위 ‘문화목록어(cultural inventory)’라고 한다. 일찍이 최남선은 ‘밝’이 우리 민족의 문화목록어로 보아 ‘불함문화론’을 1925년에 발표하였다. 그러나 우리나라 문화 목록어는 ‘밝’이 주요하기는 하나 알·감·닥·밝·한의 순서로 전개되고 있다. 밝은 청동기 시대의 것이고, 가장 최근 철기 시대의 것은 ‘한Han’이다. 한은 전 세계 어디에나 퍼져 있는 넓은 범위를 차지하는 문화목록어이다. 한을 중심하여 마야 문명에서 동일한 혹은 유사한 문화목록어를 찾아보는 것은 두 문명 간의 동질성을 발견하는 첩경이 될 것이다.

먼저 마야 문명에 가장 주요한, 그리고 최초의 신은 강냉이 신인 ‘훈 훈아푸Hun Hunahpu’이다.(Ancient Civilization, 594) 세계 언어의 공통적인 현상은 모음이 매우 불안정하다는 것이다. 그래서 아·이·우·에·오가 서로 자유자재로 서로 치환될 수 있다. 주요한 것은 자음이다. 여기서 ‘훈Hun’에서 고려의 대상은 H와 N이다. 일단 이를 HAN과 같은 문화목록어로 간주해 본다. 훈 훈아푸는 죽임을 당하나 그의 쌍둥이 아들에 의하여 다시 부활한다.

다음으로 한Han과 가장 접근하는 것은 마야 우주관에서 주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우주목(Cosmic World Tree)인 ‘훈압―쿠Hunab-Ku’이다. 문자적 의미는 우리 말 그대로 ‘한 분 주님One Lord’ 즉, ‘하나님One Lord’으로서 음도 의미도 같다. ‘작용과 측정을 주관하는 한 분(One Giver of Movement)’, ‘힘과 경계를 부여하시는 한 분(One Giver of Energy and Boundaries)’이다.

▲ 멕시코 마야문명의 주신, 케찰코아틀의 또 다른 모습이다. 고구려 오회분 4호묘에서 보이는 인두사신 그림의 모양과 같은 상징을 나타내고 있다. 깃털은 불(양)이고 아래 뱀처럼 꼬인 부분은 물(음)을 상징한다. 또한 양은 하늘을 상징하고 음은 땅을 상징한다. 이 상극의 존재가 하나되어 조화를 이루어 나가는 것이 우리 한겨레의 근본사상이다. 곧 홍익인간 사상이라고 할 수 있다. 일연의 삼성기(삼국유사-고조선)에서도 하늘인 한웅천왕이 땅의 존재인 웅녀와 하나가 된다. 그 결과 단군왕검이 탄생한다. 우리의 무의식은 신과 인간이 하나된 존재, 신인합일을 추구하는 것은 아닐까,(사진과 풀이: 오종홍).

빛과 어두움, 양과 음을 좌우하는 존재로서 나선형 운동을 하는 것으로 마치 역의 태극도상을 복사해 놓은 듯한 것이 훈압―쿠이다.(Calleman, 2009, 11) 훈압―쿠를 두고 아르구에예스Arguelles 같은 마야 학자는 마야력이 역과 직접 연관이 된다고 단정할 정도이다. 음양과 사상과 팔괘를 판에 박은 듯이 그대로 그려내고 있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마야력은 한국의 정역과 그 구조에 있어서 같음을 증명해 나갈 것이다. 이에 대한 논의는 추후로 미루고 여기서는 ‘한’과 마야 문명과의 어원적 관계만을 더 언급해 두기로 한다.

마야의 수 가운데 4는 ‘칸Kan’, 5는 ‘칙한Chicchan’이다.(Calleman, 2004, 13) 숫자 20마다에는 거기에 해당하는 신들이 있다. 그 가운데 5, 10, 15, 20번째에 있는 신들의 이름은 칙한, 옥OC, 멘MEN, 아하우AHAU이다. 그 중 칙한은 ‘특수 존재의 형상The Form of Specific Being’이다. 본능, 자동적, 그리고 파충류적 뇌 구조를 가진다.(Calleman, 1987, 103-5)

관광 명소로 알려진 아즈텍의 ‘테우티후아칸Teotihuacan’이란 도시는 ‘신들의 도시(The City of Gods)’ 혹은 피라미드의 도시라고 할 정도이다. 이 도시 이름의 발음을 영어로 정확하게 표시하면 ‘tay-oh-tee-wah-KHAN’이다. 이 말의 뜻은 ‘신의 신성한 도시’이다. 아즈텍인들이 이렇게 부른 이유는 이 도시가 다섯 번째로 창조된 태양의 신화와 연관이 된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 다섯 번째 태양의 시대가 바로 우리가 사는 시대이다. 네 번째 태양의 시대에 살던 사람들 가운데 살아남은 자들이 이곳에 모여 세운 도시가 바로 ‘테우티후아칸’이다.

이 말의 주요한 음절은 마지막 ‘칸KHAN’으로서 아즈텍어로 ‘신들의 거처(abode of gods)’이다. 여기서 신은 KHAN이다. 이 도시를 방문하면 마치 만주의 집안 부근의 무덤들이 군집해 있는 지역과 신라 경주의 왕릉 지대에 온 듯하다. 크고 작은 피라미드들이 광활한 들판에 즐비해 있다. 그런데 여기서 주요한 것은 신의 이름이 칸이라는 점이다. 그래서 이 도시의 이름을 ‘신들의 처소’라고 한 것이다.(Teotihuacan, 1973, 14)

마니산 참성단의 5, 13 그리고 19수

마야력의 대표적인 세 수들인 13, 18(19), 20수 등은 주역에 흔히 나오는 수가 아니다. 그런데 우리 문화 전통 속에서는 흔히 보이는 수들이다. 다음에 말할 윷판과 윷말은 말할 것도 없고, 강화도 마니산(Mani mountain)에 있는 참성단(塹城檀 )석축 계단들의 층수 속에서 우리는 13과 19를 쉽게 발견할 수 있다. 지금 돌담들은 허물어져 가고 있는 참성단에 인류 문명의 귀중한 암호code가 숨겨져 있다. 마야의 역수를 결정하는 5, 13, 그리고 19라는 숫자를 참성단에서 발견할 수 있다. 참성단 돌담의 층수를 세어 보면 거기서 우리는 이들 수들을 확인할 수 있다는 것이다.(최동환, 2001, 35)

즉, 참성단을 상부와 하부로 나눌 때에 마야의 피라밋과 일치되는 곳을 발견할 수 있다. 상부 구조 정면 계단 수가 19이고, 이를 둘러싸고 있는 삼면의 석축 층수도 19이다. 13은 정면의 석축 층수에서도 확인되고 정면 좌측의 석축에서도 확인이 된다. 하부에는 계단이 세 개가 확인되는데 그 세 개는 각각 1, 3, 그리고 5이다. 이들 수 역시 마야 수에서 주요한 수이다.

석축의 하부(ground)는 숫자 0과 같다. 인류 문명사에서 0을 제일 먼저 사용한 종족은 마야로 알려져 있다. 상부에서 1, 3, 5가 시작되는 것으로 보아 하부는 0이라고 할 수 있다. 이 하부에는 세 곳에서 뚫려져 있다. 서양에서도 점차로 0층을 ground라고 하는 경향이 있다.

이것은 유카탄 반도의 치첸 이샤에 있는 천문대인 동시에 피라미드인 카로콜과 그 구조에 있어서 같다. 세 개의 열린 구멍 가운데 하나는 남으로, 다른 하나는 월몰시 최북선, 다른 또 하나는 춘분의 일몰시 관측을 하는 곳이다. 치첸 이샤 쿠쿨칸 피라밋에 방울뱀의 모양을 한 그림자가 13개를 만드는 순간도 바로 춘분 때이다.

이렇게 참성단은 상부와 하부 구조 모두에 마야의 피라미드와 그 구조를 형성하는 수에 있어서 일치하고 있다. 주역에서는 쉽게 발견되지 않는 이들 수들이 우리 문화와 문명의 기층에서 발견된다는 것은 양자 사이의 깊은 관계를 암시하기에 충분하다고 본다. 그러나 두 문명 사이의 합일점은 더 구체적인 데서 나타나야 할 것이다. 그것은 바로 윷놀이이다. 이들 숫자들은 윷놀이 혹은 사희(柶戱)로 알려져 있고 윷판은 사평도(柶枰圖)라 한다. 놀이 문화 연구 학자들은 한국의 윷놀이가 인류 놀이 문화의 원형이라고까지 하면서 전 세계에 이와 유사한 놀이가 발견된다고 한다.

다음으로 마야력의 구성수인 13, 18, 20과 가장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은 선기옥형(璇璣玉衡) 혹은 혼천의(渾天儀)이다. 마야의 구성 ‘수들의 수레(wheel of number)’가 갖는 순환 구조까지 같은 것이 선기옥형이다. 순왕이 만들어 사용했다고 하는 선기옥형을 마야인들이 가지고 와서 중앙아메리카에서 사용한 것이 아닌가 착각할 정도로 선기옥형과 마야의 구성수들은 일치하고 있다. 먼저 윷놀이부터 시작하여 선기옥형에 이르기까지 순서대로 마야수들을 여기서 찾아 나가기로 한다.

글: 김상일(전 한신대 교수, 미국 클레어몬트대학 과정사상 박사)

저서: <한사상> <한철학> <현대 물리학과 한국 철학><퍼지와 한국 문화> <윷의논리와 마야력법>등 20여권 저술

저작권자 © 코리아 히스토리 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