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에 한웅천왕의 뜻하는 수탉문화으로 유럽과 이어져 있었다.

 

유럽에 수탉을 섬기는 조형물 즐비

프랑스 노틀담 대성당 꼭대기 수탉

토속종교와 외래종교의 융합 보여줌

한웅천왕 솟대문화가 전파되었을 것

 

▲프랑스 노틀담 대성당 뽀족탑 끝에 수탉이 있다. 십자가는 그 아래에 있다. 프랑스 토속문화가 수탉임을 암시한다. 수탉을 국가 상징으로 삼고있다. 수탉은 고구려 고분벽화, 백제금동대향로 등에서 보인다. 노틀담 대성당은 며칠 전 화제로 파괴되었다(편집자 주).

노트르담 대성당이 불탔다.

첨탑이 떨어지며 꼭대기의 수탉 상이 건재해 외신을 탔다.

독일의 마인츠 성당이나 헝가리의 마차시 성당에만 수탉 상이 있는 지 알았더니 유럽에 크고 오래된 성당은 거의 수탉 첨탑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거룩한 십자가 위에 하찮은 수탉이 이해가 가지 않는다.

왜 한국의 솟대가 유럽 성당에 있을까?

가만히 역사를 들여다보면 이해가 간다. 한국인은 이주를 할 때 종교 중심지 소도를 가지고 간다.

몽고도 소도 문에 새가 있고 일본도 신사 문에 도리이가 있다. 소도가 설치 되었다고 표시하는 것이 솟대이다. 모든 종교는 빙하가 가장 먼저 녹은 바이칼(밝은 海)의 샤만(흰맨)니즘에 뿌리를 둔다.

유럽은 몽고 텐트 게르에 살던 게르만의 땅이다. 게르 터에 살던 겔트족의 땅이기도 하다. 나중에 스스로를 한이라 부르던 훈족이 그들의 소도를 가지고 들어가 중세 왕조들을 이루었다.

이들이 기독교를 받아들여 만든 것이 성당이다. City는 가운데 소도에 해당하는 성당이 있는 마을에 붙여진 이름으로 소도가 어원이다.

외래종교는 토속종교와 반드시 융합이 된다. 외래종교도 뿌리가 같으니 근본사상은 토속종교와 다름이 없다. 새가 인간과 신의 매개체라는 사실은 같다.

이것을 나타내는 아이콘이 불가리아 릴라수도원에 그려져 있다. 불가리아 정교는 로마 카톨릭보다 중동에 가까워 기독교 본래 의식의 변형이 적다.

대웅전은 원래 한웅전이었다. 대전을 순 우리말로 한밭이라 부른다. 그래서 대웅전은 한웅상이 있던 곳이다. 한웅 대신에 석가모니 부처님이 모셔진 곳이다.

이렇게 토속종교의 의식 장소를 표시하는 솟대가 외래종교 의식 장소 표시하는 수탉 첨탑으로 변했다.

*이성환: 한의사

저작권자 © 코리아 히스토리 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